이달의 메일링 마케팅
home

물리학과 김준호 교수 연구팀, 케스트라이트 박막 태양전지 연구 결과 에너지와 환경과학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게재

Ag 도핑효과에 따라 반도체 결함 제어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논문 개념도
인천대학교 물리학과 김준호 교수 연구실은 DGIST 및 광운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케스트라이트 박막 태양전지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했는데, 은(Ag)을 광흡수층에 도핑하는 방식에 따라 반도체 결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Reducing carrier recombination loss by suppressing Sn loss and defect formation via Ag doping in Cu2ZnSn(S,Se)4 solar cells”라는 제목으로 에너지 분야 권위 저널인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2024, 10.1)에 게재되었으며, 김준호 교수는 공동 교신저자로, 제1저자인 DGIST 김성연 박사는 김 교수 실험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인천대학교 물리학과 졸업생으로 참여했다.
물리학과 김준호 교수 실험실은 DGIST 및 광운대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통해서 케스트라이트 박막 태양전지의 효율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은(Ag)을 케스트라이트 광흡수층에 도핑하는 방법에 따라 반도체 결함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밝혀낸 것으로, 실험 결과는 “Reducing carrier recombination loss by suppressing Sn loss and defect formation via Ag doping in Cu2ZnSn(S,Se)4 solar cells” 제목으로 에너지 분야 대표 저널인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I.F.= 32.4) 에 온라인으로 게재되었다. (2024, 10.1).
이 연구에서 김준호 교수는 공동 교신저자로 역할을 하였고, 이 논문의 제 1 저자인 DGIST 김성연 박사는 동 실험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인천대학교 물리학과 졸업생이다.
김성연 박사와 김준호 교수 사진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1999)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27(송도동) INU이노베이션센터 202호
본 메일은 마케팅 활용 동의서에 동의하신 회원님께 전송된 것입니다.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발송되는 메일을 더 이상 받아보기 원하지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해주세요.
COPYRIGHT (c) 2023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