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메일링 마케팅
home

젤라틴기반 기능성 조직 접착 하이드로젤 제조방법

요약
상처 치유 시간이 3배로 빨라진다면 어떨까요? 3.7초 만에 굳는 산소 방출 하이드로젤이 상처 치유를 혁신합니다. 기존 봉합사나 스테이플러보다 조직 손상을 줄이고 치유를 촉진하는 이 하이드로젤은 젤라틴에 티올기와 말레이미드기를 도입하여 기계적 강도와 접착력을 높였습니다. 과산화칼슘을 통해 서서히 산소를 방출하여 세포 활성화와 혈관 신생을 돕습니다. 이는 응급 처치나 수술 시 유용하며,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환자의 회복 속도를 높입니다. 또한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봉합사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기본 정보

특허명: 젤라틴기반 기능성 조직 접착 하이드로젤 제조방법
발명자: 박경민 교수
출원번호: 10-2022-0096098

상세 정보

배경 기술

배경 설명

하이드로젤은 수용성 고분자가 망상 구조를 이루어 다량의 물을 함유하는 물질임.
높은 함수율과 세포외 기질과의 유사성으로 생체 적합성이 우수함.
생체 접착 하이드로젤은 조직 표면과 결합하여 상처를 봉합하는 데 사용됨.
기존 봉합사나 스테이플러보다 조직 손상을 줄이고 상처 치유를 촉진함.

기존 기술의 문제점

기존 하이드로젤은 기계적 강도와 조직 접착력이 부족하여 상처 치유에 한계가 있음.
산소 공급 기술은 낮은 전달량과 빠른 방출로 효과적이지 않음.
고농도 과산화수소는 세포 독성을 유발하여 안전성 문제가 있음.
제어 가능한 산소 방출과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진 하이드로젤이 부족함.

기술의 필요성

국부적으로 지속적인 산소를 공급하는 하이드로젤 개발이 필요함.
제어 가능한 산소 방출과 높은 조직 접착력을 가진 하이드로젤은 상처 치유를 촉진함.
젤라틴에 티올기와 말레이미드기를 도입하여 기계적 강도와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
새로운 기능성 하이드로젤은 다양한 생의학적 응용이 가능함.

구현 방법

기술의 원리

본 발명의 기술은 젤라틴에 티올기와 말레이미드기를 도입하여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원리임. 티올기와 말레이미드기는 티올-엔 반응을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가교망을 구축함.
티올기를 함유한 젤라틴 유도체와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한 젤라틴 유도체를 혼합하면 즉각적으로 하이드로젤이 형성됨. 이는 티올-엔 화학 결합에 기반한 것이며 별도의 촉매 없이도 반응이 진행됨.
과산화칼슘을 첨가하여 이황화결합 형성을 촉진하고, 동시에 산소를 서서히 방출함. 방출된 산소는 조직 재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구체적인 구현 방법

젤라틴에 시스타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 NHS를 첨가하여 티올기를 함유한 젤라틴 유도체를 합성함. 이때 DTT를 사용하여 이황화결합을 절단하고 티올기를 도입함.
젤라틴에 6-말레이미도헥사노익애씨드, EDC, NHS를 혼합하여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한 젤라틴 유도체를 합성함. 말레이미드의 함유량은 반응물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제어함.
합성된 티올기와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한 젤라틴 유도체를 혼합하고 과산화칼슘을 첨가하여 하이드로젤을 형성함. 과산화칼슘의 농도에 따라 하이드로젤의 상전이 시간과 기계적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음.
트리스-HCl 용액의 농도를 변경하여 용매의 pH를 조절함. 이를 통해 티올-엔 반응의 속도를 제어하고 하이드로젤의 경화 시간을 조절함.

기술의 장점

빠른 상전이 시간(3.7~16초)을 가지는 하이드로젤을 제공하여 신속한 적용이 가능함. 이는 응급 처치나 수술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높은 기계적 강도(180~620 Pa)를 지니며, 과산화칼슘의 농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강도로 조절 가능함. 이는 다양한 조직의 요구 조건에 맞춰 적용할 수 있음.
과산화칼슘의 서방형 산소 발생을 통해 조직 재생을 촉진함. 산소는 세포 활성화와 혈관 신생에 도움을 주며, 서서히 방출되어 세포 독성을 최소화함.
우수한 조직 접착력(19~27 kPa)을 보여 봉합이나 스테이플러를 대체할 수 있음. 이는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치유 과정을 개선함.

실험 및 결과

실험의 목적

티올기와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젤라틴 유도체를 합성하여 기계적 강도와 조직 접착력이 향상된 하이드로젤을 개발하고자 함. 이를 통해 기존 하이드로젤의 한계를 극복하고 조직 재생 및 상처 치유에 효과적인 생체 소재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임
과산화칼슘을 활용하여 하이드로젤 내에서 서방형 산소 발생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함. 이를 통해 국부적인 산소 공급을 통해 조직 재생 및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하이드로젤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임
젤라틴 하이드로젤의 상전이 시간, 기계적 강도, 조직 접착력 및 산소 발생량을 조절하여 다양한 의료 응용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맞춤형 하이드로젤을 제작하고자 함

실험 방법 및 과정

젤라틴에 시스타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 NHS를 혼합하여 티올기를 함유하는 젤라틴 유도체를 합성함. 이때 DTT를 추가하여 티올기 함유량을 높임. 합성된 유도체의 티올기 함유량은 엘만 분석을 통해 확인함
젤라틴에 6-말레이미도헥사노익애씨드, EDC, NHS를 혼합하여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젤라틴 유도체를 합성함. 도입되는 말레이미드 함유량은 초기 투입되는 시약의 양으로 조절하였으며, 엘만 분석을 통해 함유량을 측정함
합성된 티올기 및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젤라틴 유도체를 혼합하여 하이드로젤을 형성함. 혼합 시 과산화칼슘을 추가하여 하이드로젤의 상전이 시간과 기계적 강도를 조절함. 과산화칼슘의 농도는 전체 혼합물의 0.001 내지 0.25 중량%로 설정함
하이드로젤의 상전이 시간은 바이알 틸팅 방법을 통해 측정함. 기계적 강도는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평가함. 조직 접착력은 다양한 조직 표면에 하이드로젤을 적용하여 측정함
하이드로젤 내에서 발생하는 산소의 양과 방출 거동은 과산화칼슘의 농도 변화에 따라 분석함. 이를 통해 산소 발생량을 제어하고 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

실험 결과

합성된 티올기를 함유하는 젤라틴 유도체는 평균 130~231 μmol/g의 티올기 함유량을 나타냄. 이는 기존 기술보다 높은 수치로, 하이드로젤의 가교도를 향상시킴
말레이미드기를 함유하는 젤라틴 유도체의 말레이미드 함유량은 33~99 μmol/g으로 조절 가능함. 말레이미드 함유량의 증가는 하이드로젤의 기계적 강도와 조직 접착력을 향상시킴
하이드로젤의 상전이 시간은 과산화칼슘 농도 증가에 따라 16초에서 3.7초까지 단축됨. 용매의 pH가 낮을수록 티올-엔 반응 속도가 빨라져 상전이 시간이 줄어듦
기계적 강도는 과산화칼슘 농도 증가에 따라 180 Pa에서 최대 620 Pa까지 향상됨. 이는 이황화결합 형성으로 가교도가 증가하였기 때문임
조직 접착력은 19~27 kPa로 기존 하이드로젤보다 우수한 접착성을 보임. 다양한 조직 표면(간, 신장, 심장 등)에 적용하여 높은 접착력을 확인함
과산화칼슘의 분해로 인해 하이드로젤 내에서 산소가 서방형으로 발생함. 산소 발생량은 과산화칼슘의 농도에 따라 조절되었으며, 이는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데 기여함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활용 방안

생체 접착 하이드로젤로서 조직 재생 및 조직공학 분야에 활용 가능함. 젤라틴 하이드로젤은 높은 생체 적합성과 조직 접착성을 바탕으로 연골 재생, 골 재생, 피부 재생 등의 지지체로 사용할 수 있음.
의료용 접착제 및 지혈제로 다양한 수술 분야에 적용 가능함. 뇌신경외과, 정형외과, 피부 이식 등에서 기존 봉합사나 스테이플러를 대체하여 조직 손상을 줄이고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음.
산소 발생 기능을 가진 하이드로젤로서 상처 부위의 세포 활성화와 혈관 신생을 촉진함. 과산화칼슘의 분해를 통해 산소를 서방형으로 방출하여 조직 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기대효과

조직 재생 및 상처 치유 촉진을 통해 의료 분야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 지속적인 산소 공급과 생체 친화적인 지지체 제공으로 재생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됨.
의료용 접착제의 개발로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환자의 회복 속도를 높일 수 있음. 우수한 조직 접착력과 기계적 강도를 통해 기존 봉합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
약물 전달체로서 활용되어 약물의 효율적인 전달과 부작용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음. 펩타이드, 단백질 의약품, 항균제, 항암제 등의 전달에 사용되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산소 발생 하이드로젤을 통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로 의료 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음. 세포 활성화 및 혈관 신생 촉진으로 난치성 상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함.

시장 동향

생체재료 시장 동향

생체재료는 의료 기기 및 이식물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음.[웹 출처]
생체재료 시장은 다양한 의료 수요에 부응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인한 의료 기기 및 인공 삽입물 수요 증가에 따라 확장되고 있음.[웹 출처]
최근 생체재료의 연구와 개발은 주로 생체 적합성을 강화하고,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의 발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음.[웹 출처]
생체재료의 지속적인 발전은 새로운 의료 솔루션을 제공하며, 임상 수요 및 의료 기술 발전의 견인차로 작용할 것임.[웹 출처]
생체재료는 인공 엉덩이 대체물, 스텐트와 같은 의료 기기의 주요 구성 요소로 사용되며, 이러한 제품들의 생체 적합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웹 출처]

상처 치유 시장 동향

글로벌 상처 치유 시장은 만성 상처의 발생 증가와 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상당한 성장을 보이고 있음. 생체공학 피부 대체품과 스마트 드레싱과 같은 고급 상처 관리 제품의 부상이 시장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임. 이러한 혁신은 치유 과정을 향상시키고 회복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웹 출처]
2023년 글로벌 상처 치유 시장의 규모는 187억 9천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4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4.05%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웹 출처]
상처 치유 시장의 주요 동력은 만성 상처와 수술 절차의 발생 증가임. 생체공학 피부 대체품과 스마트 드레싱의 발전이 주요 시장 동향으로 자리잡고 있음.[웹 출처]
고급 상처 관리 기술의 발전은 향후 글로벌 상처 치유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됨. 특히, 스마트 드레싱 및 생체공학 대체물 발전이 시장의 지속 가능성을 제공할 것임.[웹 출처]
상처 치유 제품은 만성 상처, 당뇨병성 족부 궤양, 정맥성 궤양 등의 관리에 사용됨.[웹 출처]

대표도면

기술이전 담당자 연락처

담당자명: 이미정 계장
부서: 기술사업화팀
전화번호: 032-835-9766
이메일: mijung@inu.ac.kr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1999)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27(송도동) INU이노베이션센터 202호
본 메일은 마케팅 활용 동의서에 동의하신 회원님께 전송된 것입니다.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발송되는 메일을 더 이상 받아보기 원하지 않으시면, [수신거부]를 클릭해주세요.
COPYRIGHT (c) 2023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