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Triglochin maritima, 즉 지채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을 줄여 피부 색소 침착을 완화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특히, 이 추출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낮추고,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여 기존 멜라닌 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합니다. 지채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강력한 생리적 활성을 보입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멜라닌 억제제보다 효능과 안전성이 높아, 미백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 큰 경쟁력을 지닌 제품으로 발전이 예상됩니다. 실험 결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TYR, TRP-1, DCT, MITF 등을 통해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본 정보
•
특허명: 지채 추출물 및/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발명자: 김연정 교수
•
출원번호: 10-2021-0190308
•
등록번호: 10-2719690
상세 정보
발명의 배경
배경 설명
•
많은 기존 제품들은 멜라닌 억제 효과가 제한적임. 이에 따라 새로운 대안으로 지채(Triglochin maritima) 추출물이 필요함.
•
지채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을 조절하여 피부 색소 침착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임. 특히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고 관련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킴.
•
본 발명은 기존 기술이 어려움에 직면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지채 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새롭게 조성하여 제안함.
기존 기술의 문제점
•
기존 제품들은 멜라닌 억제에서 효능이 낮고 대체로 신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음.
•
지채 추출물 및 그 분획물들은 티로시나제 효소와 멜라닌 합성 유전자에 강력한 억제 효과를 보임.
•
지채 추출물은 보다 높은 효능과 안전성을 제공하여 기존의 멜라닌 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함.
기술의 필요성
•
지채 추출물은 기존 기술 대비 높은 멜라닌 억제 효율과 안전성을 제공하며, 이는 미백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음.
•
최근 연구에서 지채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이 피부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됨.
•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통해 소량으로도 강력한 멜라닌 억제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기술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입증함.
구현 방법
기술의 원리
•
지채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되며,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보임.
•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줄이는 데 효과적임.
•
추출물은 기존의 멜라닌 억제제보다 효능과 안전성이 높아 다양한 피부 미백 제품에 적용 가능함.
구체적인 구현 방법
•
B16F10 흑색종 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농도의 지채 추출물 및 분획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실험함.
•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정량화하여 평가함.
•
RT-PCR과 western blot 기법을 활용해 멜라닌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을 확인함으로써 기술의 효과를 입증함.
기술의 장점
•
지채 추출물은 기존 대비 높은 멜라닌 억제 효과와 안전성을 자랑함.
•
이 발명의 기술 구현으로 피부 미백 효과가 강화되고, 다양한 응용 가능성도 높음.
•
추출물의 성분과 효과는 다양한 산업에 유연성을 제공하며, 소비자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이 가능함.
실험 및 결과
실험의 목적
•
실험의 주요 목적은 지채(Triglochin maritima)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이 멜라닌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임. 이를 통해 피부 미백 화장품, 기능성 식품, 약학적 조성물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함.
•
지채 추출물이 미백 효과를 얼마나 가지는지, 그리고 다른 성분들과 비교하여 특성화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함.
실험 방법 및 과정
•
실험은 96웰 플레이트에서 각기 다른 농도의 지채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과 멜라닌 함량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됨.
•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를 사용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마우스로 평가함. 다양한 농도의 지채 추출물 및 분획물을 사용함.
•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량화함 .
실험 결과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높아 양성 대조군(arbutin)과 유사한 수준의 억제 효과를 보였음 .
•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경로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분석하며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을 평가함.
•
실험 결과는 지채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TYR, TRP-1, DCT, MITF 등을 통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됨.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활용 방안
•
지채 추출물은 미백 화장품과 기능성 식품에 적용 가능함. 멜라닌 억제 특성을 바탕으로 피부 미백 효과를 강화할 수 있음.
•
추출물은 피부 색소 침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가진 식품 조성물로도 활용 가능함. 이는 건강한 피부 유지 및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
•
각 용매에서의 추출 과정을 통해 다양한 생리 활성을 보일 수 있어, 산업적 생산에 유연성을 제공함. 이는 다양한 화장품과 조합하여 그 효과를 강화할 수 있음.
기대효과
•
피부 미백 제품의 적용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음. 기존 제품 대비 더 효과적이며 무해한 피부 미백 특성이 있어, 시장에 새로운 경쟁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화장품, 의약품, 식품 등 여러 분야에서의 활용도를 통해 사회적 및 경제적 이점이 클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빠르게 통합될 수 있으며,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될 예정임.
•
지채 추출물은 기능성 식품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 음료 제조에 적용될 수 있음. 이는 미용과 건강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성 제품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열어줌.
시장 동향
미백 화장품 시장 동향
기능성 식품 응용 분야
대표도면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21999)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27(송도동) INU이노베이션센터 202호
본 메일은 마케팅 활용 동의서에 동의하신 회원님께 전송된 것입니다.
COPYRIGHT (c) 2023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